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레베카 / 키릴 미노프

덤프버전 :

종합선수권 아이스 댄스 챔피언
파일:대한빙상경기연맹.png
민유라 / 티모시 콜레토[1]
(2014)[2]
김레베카 / 키릴 미노프
(2016)
민유라 / 알렉산더 겜린
(2017)

파일:external/s1.ibtimes.com/kirill-minov-rebeka-kim.jpg
이름김레베카
Rebeka Kim
키릴 안드레예비치 미노프
Кирилл Андреевич Минов
Kirill Andreyevich Minov
출생1998년 1월 27일 (26세)1993년 1월 2일 (31세)
리투아니아 빌뉴스러시아 모스크바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3]
신체165cm185cm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종목피겨 스케이팅
은퇴2017년 2월 24일
1. 개요
2. 선수 경력
2.1. 2012-13 시즌
2.2. 2013-14 시즌
2.3. 2014-15 시즌
2.4. 2015-16 시즌
2.5. 2016-17 시즌
3. ISU 공인 최고점수
4. 프로그램
5. 커리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조다.

2. 선수 경력[편집]


김레베카는 원래 여자 싱글 스케이터였으나 아이스 댄스 선수인 키릴 미노프와 짝을 이뤄 아이스 댄스로 전향하였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활동하던 한국 아이스 댄스 조 중 가장 선배였으며, 역대 한국 아이스 댄스 조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2.1. 2012-13 시즌[편집]


이 시즌에 처음 등장하여 당시 한국 아이스 댄스 조는 김레베카 / 키릴 미노프 조를 포함한 두 조[4]밖에 없었으며, 주니어는 김레베카 / 키릴 미노프가 유일했다.

2012 JGP 크로아티아 10위, 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 20위를 하는 등 맞춰 본 지 얼마 안 된 팀이라고 보기에는 당시 성적이 상당히 좋았다.

2.2. 2013-14 시즌[편집]


2013 JGP 슬로바키아 대회 5위, 2013 JGP 벨라루스 대회 4위를 했는데 당시 코치가 한국빙상연맹에 일침을 가했었다.[5][6]2014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한국 아이스 댄스 최고 순위인 6위[7]를 차지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3. 2014-15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볼보 오픈 컵에서 3위를 하여 한국 아이스 댄스 조 사상 최초로 ISU 공인 대회 시니어 메달을 딴 조가 되었다.

2014 로스텔레콤 컵2014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 초청을 받으며 한국 아이스 댄스 사상 최초 시니어 그랑프리에 초청받았다.[8] 로스텔레콤 컵과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는 각각 7위와 8위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5 사대륙선수권2015 세계선수권에서는 각각 9위와 26위를 기록했다.

2.4. 2015-16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아이스 스타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몰도비안 오너먼트에서는 총점 137.28점으로 개인 최고점을 기록하며 6위를 차지했다. 볼보 오픈 컵에서 총점 143.94점을 받아 개인 최고기록을 세우며 우승하였고, 2015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016 종합선수권에서 우승하여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따냈다. 그러나 이후 열린 2016 사대륙선수권에서 11위로 한국 조에서 성적이 가장 좋지 않았으며, 2016 세계선수권에서는 25위로 2년 연속 프리컷을 당하는 등 시즌 말미에 슬럼프를 겪는 모습을 보였다. 시즌이 끝나고 2016년 6월 올댓 스케이트 아이스 쇼에 참가하였다.

2.5. 2016-17 시즌[편집]


2016 스케이트 아메리카박소연과 함께 초청받았다. 훈련지를 러시아에서 미국 디트로이트로 옮기고 코치도 크릴로바 / 카멜렝고로 교체하며 새로운 마음으로 시즌을 시작하는 것으로 보였다. 올림픽을 목표로 아이스 댄스 및 페어의 남자 선수 귀화 예정 명단에서 키릴이 제외된 채 발표되어[9] 팬들은 멘붕에 빠졌다. 심지어 당초 배정받은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갑자기 빠졌다.[10]

9월 중순에 키릴의 부상이 악화되어 키릴은 러시아로 돌아가 치료에 전념할 것임이 팬 카페를 통해 알려졌다. 이에 따라 그랑프리 시리즈와 시즌 후반 대회들을 모두 기권하였다. 이후 팬 카페에 너무나도 안타까운 공지가 올라왔는데, 키릴의 부상이 의사 소견상 완치가 어렵다는 판단이 나왔으며 레베카와 키릴은 합의하에 파트너쉽을 종료했다.[11]

3.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4. 프로그램[편집]


시즌쇼트(SP)프리(FS)갈라(EX)
2015-2016Waltz, FoxtrotTabacco Road, Party RockersUptown Funk!
2014-2015파소 도블레오페라의 유령-
2013-2014Quickstep:Show Me How You Burlesque
(From Burlesque)
세헤라자데세헤라자데
Foxtrot:Speaking of Happiness
2012-2013BluesMidnight in Moscow-
Swing

5. 커리어[편집]


국제대회:시니어
대회12–1313–1414–1515–16
세계선수권26th25th
사대륙선수권9th11th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8th
GP 로스텔레콤 컵7th6th
CS 아이스 스타3rd
CS 몰도비안 오너먼트6th
CS 네벨혼 트로피7th
볼보 오픈 컵3rd1st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20th6th
JGP 벨라루스4th
JGP 슬로바키아5th
JGP 크로아티아10th
바바리안 오픈4th J6th J
NRW 트로피6th J1st J
파닌 메모리얼1st J
국내대회
종합선수권1st
회장배 랭킹대회1st1st1st
JGP 선발전1st1st
단체전
팀 챌린지 컵3rd T
6th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T=팀 결과, P=개인 결과, CS=챌린저 시리즈, J=주니어
[1] 1955년부터 싱글 부문을 개최했던 것과는 달리 아이스 댄스는 1998년이 되어서야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이마저도 두 팀밖에 없었던 시절이라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양태화 / 이천군 조가 우승하고 김혜민 / 김민우 조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김혜민 / 김민우 조가 경쟁자들 없이 단독으로 우승하였고, 2006년부터 2013년까지는 아예 아이스 댄스 부문이 개최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2014년에 다시 개최하여 민유라 / 티모시 콜레토 조가 우승하였다. 피겨 스케이팅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한국의 아이스 댄스는 남자 싱글이나 여자 싱글에 비해 저변이 작아 선수들이 부족하다. 주니어 부문도 저변이 부족하기 때문에 2015년이 되어서야 처음으로 개최하였다.[2] 2015년에는 아이스 댄싱 조들이 모두 주니어 레벨에 있었기 때문에 시니어 부문 경기가 열리지 않았다. [3] 키릴의 국적은 러시아이지만, 레베카와 조를 이룬 후에는 한국 대표로만 출전하였고 부상으로 인한 해체가 아니었더라면 귀화가 진행될 예정이었다.[4] 민유라 / 티모시 콜레토 조가 있었는데 2014-15 시즌 중 해체되었다. 해체 원인은 민유라의 부상 때문이었으며 당시 해체를 알렸던 팀 콜레토의 SNS를 보면 민유라 쪽에서 먼저 해체를 하자고 말했던 것으로 추측된다.[5] 이 때 코치가 불만을 표출했는데, 심판들에게 실력을 잘 평가받지 못했다는 생각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6] 참고로 아이스 댄스라는 종목 자체가 원래 점수에 논란이 많은 종목으로 흔히 국적 빨이라는게 작용한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아이스 댄스 쪽으로는 아무것도 해놓은 것도 없고, 가히 10년 간 선수도 없었던 한국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코치가 불만이 있을 만하다.[7] 2022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임해나 / 예콴 조가 6위를 기록하며 공동 기록을 세웠다.[8] 남자 싱글과 아이스 댄스가 최초로 시니어 그랑프리에 출전하게 되면서 2014-15 시즌은 한국 피겨 역사상 최초로 전 종목 그랑프리 시리즈에 출전이 기록된 시즌이 되었다.[9] 아이스 댄스 민유라의 파트너 알렉산더 겜린, 페어 지민지의 파트너 테미스토클레스 레프테리스의 이름만 있었다.[10] 공석이 된 엔트리에는 민유라 / 알렉산더 겜린 조가 초청되었다.[11] 이후 김레베카는 한국으로 건너와서 현재는 안무가로 활동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4:49:49에 나무위키 김레베카 / 키릴 미노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